“아침 6시 기상 → 영어 단어 30분 → 운동 1시간 → 독서 30분...”
플래너에 적은 계획은 그럴듯했지만, 현실은?
👉 기상은 9시
👉 하루 종일 미루고 결국 아무 것도 못 함
👉 결국 플래너는 몇 페이지 못 쓰고 책장 한 구석행
사실 많은 사람이 시간 관리를 하려다 실패하고 좌절합니다.
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.
하지만 그 실패 경험이 진짜 시간 관리를 배우는 시작이었어요.
이번 글에서는
📌 제가 시간 관리를 어떻게 망쳤는지
📌 그걸 어떻게 바꿨는지
솔직하게 공유해볼게요.
1. 실패 사례: 완벽주의 플래너의 몰락
2023년 3월의 어느 날
예쁜 다이어리를 새로 샀습니다.
의욕적으로 세운 하루 계획은 이랬죠:
06:00 | 기상 및 스트레칭 |
06:30 | 영어 단어 암기 |
07:00 | 샤워, 아침 식사 |
07:30 | 출근 준비 |
08:00~18:00 | 근무 |
19:00 | 운동 |
20:00 | 독서 |
21:00 | 유튜브 영상 편집 |
22:00 | 취침 |
…하지만 딱 3일 만에 무너졌습니다.
하루라도 계획을 지키지 못하면 **“난 역시 안 돼”**라는 생각이 들었고
플래너는 점점 흰 여백만 남아갔습니다.
2. 실패 원인: 완벽주의 + 현실 미반영
이때 깨달은 건, 내 플래너는 현실이 아니라 환상이었다는 겁니다.
하루가 그렇게 매끈하게 흘러가지 않는데,
매번 이상적인 계획만 세우고 스스로를 몰아붙였던 거죠.
❌ 너무 촘촘한 시간표
❌ 에너지 수준을 고려하지 않음
❌ ‘해야 할 일’만 있고 ‘쉴 시간’은 없음
❌ 계획이 무너지면 죄책감 폭발
3. 바꾼 방법 ① ‘시간 단위’ 대신 ‘블록 단위’로
예전엔 30분 단위로 계획을 짰다면,
지금은 **“시간 블록”**으로 큼직하게 나눕니다.
예:
- 오전(9~12시): 집중 업무 블록
- 오후(2~5시): 루틴 업무 + 정리
- 저녁(7~9시): 자기계발 or 휴식 블록
👉 블록 단위로 나누면, 작은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요.
완벽하게 지키는 게 아니라, 방향성을 잡는 것이 핵심!
4. 바꾼 방법 ② 하루 3가지 목표만 정하기
예전엔 할 일이 많을수록 뿌듯했지만,
결국 아무 것도 못하고 끝나는 날이 많았습니다.
지금은 단순하게 이렇게 씁니다:
오늘의 핵심 3가지
- 오전 회의 준비
- 블로그 글 작성
- 저녁 운동 30분
단 3가지라도 실천하면 성취감이 남고,
다음 날도 자연스럽게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돼요.
5. 바꾼 방법 ③ 기록은 ‘실천’ 중심으로
이전엔
❌ “뭐 해야 함” 중심의 플래너였다면,
지금은
✅ “뭘 했는지” 중심의 기록형 플래너로 바꿨어요.
예시:
오전 | 업무 미팅, 보고서 초안 작성 |
오후 | 이메일 처리, 콘텐츠 구상 |
저녁 | 독서 30분, 산책 20분 |
👉 이렇게 기록하면,
“생산성 낮았나?”라는 착각 대신
**“내가 오늘도 이만큼 했구나”**라는 인식이 생깁니다.
6. 바꾼 방법 ④ ‘실패’도 플래너에 남기기
계획대로 안 된 날, 그냥 빈칸으로 두지 마세요.
❗ 실패 기록 예시
- 오전: 늦잠 😞
- 오후: 갑작스러운 외근으로 일정 밀림
- 저녁: 피곤해서 넷플릭스 정주행…
이렇게 남겨두면,
단순히 자책하지 않고
**“그날의 흐름을 이해하고 다음에 대비”**할 수 있어요.
마무리 – 시간 관리는 ‘완벽함’보다 ‘유연함’이다
시간 관리는 절대 이상적인 계획표 그리기가 아닙니다.
오히려 실패를 경험하며
“나한테 맞는 흐름과 리듬”을 찾는 과정에 가까워요.
처음엔 플래너가 엉망이어도 괜찮습니다.
중요한 건 ‘계속 써보는 것’, 그리고 **“조금씩 나아지는 것”**이니까요.
👉 당신도 망한 플래너 한 권쯤 갖고 있다면,
그건 실패의 기록이 아니라 성장의 시작일지도 모릅니다.